‘서른 살’을 맞은 부산국제영화제가 국내외 영화인들의 뜨거운 축하 속에서 막을 올렸다.
17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에서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식이 열렸다.
‘어쩔수가없다’ 팀부터 양가휘, 한효주, 매기 강 감독, 블랙핑크 리사, 나홍진 감독, 한소희, 전종서, 김민하, 김유정, 김영대, 이수혁, 이혜영, 김성철, 정수정, 사카구치 켄타로, 밀라 요보비치, 고경표 등이 참석해 장내를 빛냈다.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이날 개막식을 시작으로 30년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개막식 사회는 배우 이병헌이 맡았다. 역대 최초 남성 단독 사회자를 맡은 이병헌은 “30년째 부산이라는 도시에서 시작된 꿈이 이제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화제가 됐다. 이 영화제는 함께 하시는 모든 분들 반갑다”라고 인사했다.
이어 “사실 이 자리에 서있는 것도 반갑다. 저는 91년도에 데뷔를 했는데 95년도에 첫 영화를 찍어서 올해로 30년차 배우가 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30년이 되어서야 이제 좀 배우 같다는 생각이 든다. 신기한 건 부산영화제도 저와 거의 비슷하게 시작했다. 사실 저와 같이 성장을 한 거다. 그 긴 여정 중에서도 특별히 기억나는 몇몇 순간들이 있다”라며 과거 사진을 관객들과 함께 감사했다.
그러면서 “여러분들처럼 관객석에서 어떤 영화가 나올까, 무대에 올라갈 수 있을까 했는데 이 무대에 서 있을 수 있게 됐다. 감사하다”라고 마음을 전했다.
특히 이병헌은 “시간은 우리를 많이 바꿔놓았지만 영화 앞에서 느끼는 설렘만큼은 그때나 지금이나 같다. 오늘 밤 우리는 또 다른 시작을 함께 목격하게 될 거다”며 부산국제영화제의 포문을 열었다.

올해 영화제는 64개국 328편의 작품을 선보이며, 상영관은 영화의전당, CGV센텀시티, 롯데시네마 센텀시티, 영화진흥위원회 표준시사실, 동서대학교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공개홀, 메가박스 부산극장까지 총 7개 극장, 31개 스크린으로 확대해 관객들의 편의성을 높였다.
개막작으로는 박찬욱 감독의 신작 ‘어쩔수가없다’가 선정됐다. ‘어쩔수가없다’는 ‘다 이루었다’고 느낄 만큼 삶이 만족스러웠던 회사원 ‘만수’(이병헌)가 덜컥 해고된 후, 아내와 두 자식을 지키기 위해, 어렵게 장만한 집을 지켜내기 위해, 재취업을 향한 자신만의 전쟁을 준비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는다.
개막식에서는 △아시아영화인상(자파르 파나히 감독) △한국영화공로상(정지영 감독) △까멜리아상(실비아 창 감독/배우/제작자) △BIFF 시네마 마스터 명예상(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이 수여됐다.

실비아 창은 “정말 고마운 상을 받게 돼서 너무 감사하다. 큰 영광이다”라며 “1972년에 배우로 첫 작품을 했는데 그때부터 영화에 완전히 빠져버렸다. 그 이후로 지금까지 쉬지 않고 열심히 일해왔다. 중간에 결혼도 하고 엄마가 되었지만, 영화는 절대 포기 안 했다. 각본도 쓰고 감독도 하고 프로듀서도 하면서 오히려 더 깊이 빠져들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힘들었냐고? 당연하다. 근데 그런 어려움들이 오히려 더 큰 힘이 됐다. 그런 의미로 까멜리아 꽃이 저에게는 사랑과 헌신을 보여주는 상징 같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오는 저는 설레는 마음으로 새 작품 ‘타년타일’을 영화제의 모든 분들과 함께 나누려고 한다 ‘내는 아직 살아있다‘를 보여드리는 거다. 정말 행복하다. 다시 한 번 감사하다”고 전했다.

올해 영화제는 새롭게 신설된 경쟁부문에서 아시아 작품 14편을 대상으로 다섯 개 부문에서 ‘부산 어워드’ 시상을 진행한다. 나홍진 감독이 경쟁부문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특별기획 프로그램 ‘아시아영화의 결정적 순간들’을 시작으로, 이탈리아 거장 마르코 벨로키오의 ‘마르코 벨로키오, 주먹의 영화’, 프랑스의 대표 배우 줄리엣 비노쉬의 ‘줄리엣 비노쉬, 움직이는 감정’, 한국 신예 여성 감독과 선배 감독의 대화를 담은 ‘우리들의 작은 역사, 미래를 부탁해!’, 그리고 국내외 문화계 명사들이 자신이 선정한 영화에 대해 관객과 대화를 나누는 ‘까르뜨 블랑슈’까지 30회에 걸맞은 다채로운 특별기획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우동(부산)=손진아 MK스포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