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분 논스톱 열창, 세대불문 조용필 홀릭

"이 순간을 영원히" 75세 가왕 여전히 뜨거웠다. 조용필은 150분 동안 1만 8천 명을 제대로 홀렸다.
지난 6일 오후 서울 고척돔에서 ‘광복 80주년 KBS 대기획 - 조용필 이 순간을 영원히’ 무료 공연이 열렸다. ‘이 순간을 영원히 조용필’은 KBS와 조용필이 오랜 논의 끝에 함께하는 프로젝트다. 조용필이 KBS에서 1997년 ‘빅쇼’ 이후 28년 만에 선보이는 단독 무대다.
데뷔 57주년을 맞은 조용필은 국내 최초 단일앨범 밀리언셀러, 국내 누적 음반 총판매량 최초 1000만 장 돌파, 일본 골든디스크상 한국인 최초 수상, 잠실주경기장 콘서트 최초 전석 매진, 국내 대중가수 중 최다곡 음악 교과서 수록 등 수많은 최초의 기록 보유자이자 말이 필요 없는 한국 가요계의 살아있는 전설.
이번 공연에는 조용필과 최고의 무대를 선사한 슈퍼밴드 위대한탄생(리더 최희선(기타), 이태윤(베이스), 최태완(키보드), 김선중(드럼), 이종욱(키보드))도 함께해 의미를 더했다.
75세 조용필은 약 2시간 반동안 게스트 없이 28곡을 소화, 1만 8천 관객들과 호흡했다. 흰 재킷과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등장한 조용필은 ‘미지의 세계’로 공연을 시작했다. 이어 ‘못찾겠다 꾀꼬리’ ‘자존심’ ‘그대여’를 부르며 분위기를 띄웠다.

조용필은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래 기다리셨죠? 뜨겁게 맞이해줘서 감사합니다”라고 인사했다. 그는 “이 순간을 영원히”라며 “오래도록 기억에 남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추억 속의 재회’ ‘창밖의 여자’ ‘촛불’ ‘어제, 오늘 그리고’ 등 조용필의 명곡들이 이어지자 자연스레 관객들도 따라불렀다. 조용필은 ‘단발머리’ ‘고추잠자리’에서 관객들의 떼창을 유도하며 함께 즐기는 공연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허공’ ‘그 겨울의 찻집’ ‘Q’ ‘돌아와요 부산항에’에 나오자, 관객들은 자리에서 일어나 따라불렀다. 공연장을 찾은 엄마와 딸, 친구들, 부부 등 다양한 연령층의 관객은 조용필의 노래로 하나가 됐다.
조용필의 영상과 함께 노래를 따라부를 수 있도록 가사를 띄우는 등 팬들을 향한 세심한 배려도 돋보였다. 조용필과 KBS가 준비한 무료 응원봉은 노래에 따라 색깔을 달리하며 공연을 한층 더 아름답게 만들었다.


‘잊혀진 사랑’ ‘그래도 돼’ ‘꿈’ ‘그대 발길 머무는 곳에’ ‘바람의 노래’ ‘태양의 눈’ ‘아시아의 불꽃’ ‘나는 너 좋아’ ‘찰나’ ‘청춘시대’ ‘모나리자’ 등의 무대와 뜨거운 열기 속에 관객들은 “조용필”을 외치며 이 순간을 즐겼다.
조용필은 앙코르 곡으로 ‘킬리만자로의 표범’ ‘바운스(Bounce)’ ‘여행을 떠나요’을 부르며 안녕을 고했다. 아이유, 박정현, 윤하 등 후배 가수들이 “유일무이 살아있는 전설”이라 존경심을 표한 그 이유를 알 수 있는 공연이었다. 조용필은 2시간 반 동안 지치지 않은 열정과 에너지, 변함 없는 무대 매너로 그가 왜 ‘국민가수’ ‘가왕’인지를 여실히 보여줬다.
광주에서 올라온 50대 남성은 공연이 끝난 후 “딸 덕에 공연을 보게 됐다”며 “정말 신나는 공연이었다”고 엄지를 치켜세웠다. 60대 여성도 “조카가 예매해줬다”며 “무슨 말이 필요하겠나. 최고였다”고 말했다. 20대 여성은 “엄마랑 같이 왔는데 너무 좋았다”며 “왜 ‘리빙 레전드’라고 하는지 알 것 같다”며 미소 지었다.
고척돔 관계자 역시 “그동안 고척돔에서 마룬5, 블랙핑크, 두아리파&찰리푸스, 임영웅 등 국내외 최정상 가수들의 대규모 콘서트가 개최됐다. 이번 광복 80주년 KBS 대기획 ‘이 순간을 영원히-조용필’ 공연은 이중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최대 규모였다”면서 “특히 무대에 신경을 많이 쓴 것이 느껴졌다. LED, 조명, 음향, 폭죽이나 특수 효과 등의 무대 구성이 독특하고 좋았다”고 전했다.
‘이 순간을 영원히’ 제작진은 “우천 속에도 모두 하나가 돼 공연을 진심으로 즐겨 주신 1만 8000명의 관객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사건 사고 하나 없이 오롯이 가왕 조용필로 하나 된 날이었다. 현장의 열기를 본 방송에 담아 보여드리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 뜨거웠던 현장의 열기, 가왕 조용필로 하나가 된 공연의 순간은 10월 6일 KBS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양소영 스타투데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