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찬욱 감독의 첫 개막작 ‘어쩔수가없다’가 부산국제영화제의 포문을 열었다.
17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중극장에서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작 ‘어쩔수가없다’ 시사회 및 간담회가 열렸다.
‘어쩔수가없다’는 ‘다 이루었다’고 느낄 만큼 삶이 만족스러웠던 회사원 만수(이병헌 분)가 덜컥 해고된 후, 아내와 두 자식을 지키기 위해, 어렵게 장만한 집을 지켜내기 위해, 재취업을 향한 자신만의 전쟁을 준비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는다. 미국 소설 ‘액스(The Ax)’가 원작이다.
올해 베니스국제영화제와 토론토국제영화제에 초청된 데 이어 서른살을 맞이한 부산국제영화제의 포문을 열게 됐다.
박가언 프로그래머는 “한국 영화를 대표하는 박찬욱 감독과 이 자리에 함께한 이병헌 손예진 박희순 이성민 염혜란 배우들까지 당대 최고의 영화인들이 완성한 작품이다. 한국 영화의 저력을 과시한 ‘어쩔수가없다’를 개막작으로 선정할 수 있게 돼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찬욱 감독은 “제가 오랫동안 준비한 작품이라는 건 다들 아실 거다. 영화를 완성하는 데 오래 걸렸는데 우리나라에서 이 작품을 선보이게 돼서 감개무량하다”며 ““부산국제영화제가 오랫동안 이어오는 가운데 개막작으로 온 건 처음이라서 설렌다. 30주년이라고 하니까 더더욱 그렇다. 어떻게 보셨을지 떨리는 마음을 안고 개막식에 참석하려고 한다”고 했다.
박찬욱 감독은 “이 이야기를 보면 아마도 각자 자기의 삶, 자기의 직업이 먼저 떠오를 것이다. 저 역시 원작 소설을 읽으면서 종이 만드는 일이 그렇게 엄청나게 중요하고 대단한 일로 여겨지지 않았다. 그런데 이 이야기의 주인공들은 종이 만드는 일이 자기 인생 자체라고 말한다. 그들처럼 영화를 만드는 저의 마음도 같다”고 말했다.
이어 “영화라는 것도 어찌 보면 삶의 큰 현실적인 도움을 주는 일도 아니고 두 시간짜리 오락이라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그런 일에 모든 걸 다 쏟아부으며 인생을 통째로 걸며 일한다. 그래서 쉽게 동화될 수 있었다. 제지업계에 대해 제가 아무것도 모르면서도 알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고 털어놨다.
박 감독은 “지금 영화계가 어렵고 특히 우리나라가 조금 더 다른 나라보다 더 팬데믹 상황에서 회복이 더딘 상태인 건 사실인 것 같다. 여기저기 다른 나라 사람 만나 물어보면 그런 것 같더라. 그래도 영영 이런 상태에 머무를 것 같진 않다. 저희 영화가 이 구렁텅이의 늪에서 좀 빠져나오는데, 조금이라도 역할을 할 수 있길 바랄 뿐”이라고 고백했다.

이병헌은 “촬영을 마친 후 이렇게까지 공개되기를 기대하고 기다렸던 작품이 또 있었나 싶을 정도”라며 “제 작품이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이 된 것은 처음이라 더 기대되고 떨린다”고 밝혔다.
이병헌은 “처음 시작할 때 마음가짐은 특별할 게 없었다. 박찬욱 감독님과 오랜만의 작업이라 그거 하나 때문에 신나고 설렜다. 얼마나 재밌게 작업을 할지 기대감으로 시작했다. 캐릭터가 굉장히 평범하고 흔히 볼 수 있는 인물이다. 그 평범한 인물이 큰 상황에 부딪히고, 이겨내기 위해 극단적인 마음의 결정을 내린다”고 털어놨다.
이어 “점점 그 결정을 실행하면서 변해가는 과정들, 이런 모든 극단적인 상황들을 평범한 사람이 어떤 감정 상태일까 집중했다. 그것을 설득력 있게 관객에게 보여줄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큰 숙제였다”고 고백했다.

손예진은 “개인적으로 이번 영화가 저에게는 7년 만이다. 제 영화를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볼 수 있게 된 영광스러운 기회를 얻었다는 것이 너무 행복하다”며 “오늘을 평생 잊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손예진은 박찬욱 감독에 대해 “모니터를 하면 매의 눈으로 모니터 안에서 벌어지는 배우들의 연기부터 동선 등 조금이라도 어색하거나 이상한 걸 잘 잡아냈다. 촬영을 마치면 모니터를 보여주면서 체계적으로 이야기를 했다. 정말 매의 눈이 엄청났다. 그걸 보면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좋은 경험이었다”고 털어놨다.
박희순은 “같이 작업할수록 기본적인 것을 중요시하는 감독님이라는 것을 알았고, 종이를 만드는 과정처럼 장인 정신을 발휘하신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의도가 겹쳐 보이기도 하더라. 또 이 작품은 우리나라의 고유한 해학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염혜란은 “박찬욱 감독님이 가진 언어나 시선이 워낙 강렬하고 독창적이어서 고민의 지점이 많았다. 감독님이 쓴 작품도 다시 보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전했다.
이성민은 “범모 역을 하며 저를 되돌아 봤다. 배우가 대체될 수 있는 기술이 생긴다면 교체될 것 같다. 그런 두려움이 ‘어쩔수가없다’의 메시지“라고 말했다.
이병헌은 “영화도 두 번이나 봤는데, 볼 때마다 다른 해석과 다른 장면이 보이더라. 왜 그렇게 디테일하게 디렉션을 했는지 알겠더라. 극장에서 영화를 볼 이유가 정말 분명하다. 내년 추석 특집으로 집에서 TV로 보시는 것보다는 극장에서 보시는 게 좋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는 26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개최된다.
[양소영 스타투데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