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인 알베르토 몬디가 역사 왜곡 논란에 사과했다.
알베르토 몬디는 26일 SNS에 “최근 공개된 삼오사 영상에서 제 발언으로 인해 많은 분들께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글을 올렸다.
이어 “한국과 일본의 역사 문제는 수많은 분들의 아픔과 기억이 깃들어 있는 매우 무거운 주제다. 그럼에도 저는 그 무게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채 경솔한 발언을 했고 이는 전적으로 저의 책임”이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이번 일을 통해 깊이 돌아보게 됐다”며 “앞으로 더 신중하게 행동하며, 제 아이들에게도 부끄럽지 않은 부모가 되도록 역사와 맥락, 그 의미를 깊이 공부하고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또 “저의 부족한 말로 상처받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논란의 발단은 지난 25일 유튜브 채널 ‘삼오사’에 공개된 영상이었다. 이날 송진우는 한일 부부로서 자녀 교육에 대해 언급하며 “(자녀에게) ‘옛날에 (한국과 일본) 둘이 싸웠어’라 말해준다”라고 말했다.
이에 알베르토 몬디는 “우리 (아들) 레오도 한국사에 관심이 많아서 ‘엄마 일본 사람들이 진짜로 나빴다’고 한다”면서도 “가족 중에 일본인도 있어서 ‘양쪽 얘기도 들어봐라’라고 해줬다”고 거들었다.
영상이 공개되자 누리꾼들은 “일본이 일방적으로 침략, 수탈한 것”, “어떻게 양쪽 입장을 들으란 말을 하나”, “유대인한테도 나치 입장 들어봐야 한다고 말할 수 있나”등 강하게 반발했다.
이로 인해 역사 왜곡 논란이 일자 제작진은 영상을 비공개 처리하고 “출연자들의 발언이 마치 특정 사실을 왜곡하고, 잘못된 내용을 전달하는 것처럼 비치게 한 저희의 잘못”이라고 사과했다.
또 “‘한국과 일본이 싸웠다’는 표현은 일본의 침략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축소하거나 왜곡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었다. 당시 상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었지만, 편집 흐름상 단순 분쟁처럼 들릴 수 있는 뉘앙스로 전달됐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양쪽의 이야기를 들어봐야 한다’는 말 또한 역사를 양비론적으로 보자는 의미가 아니었고, 다양한 사회적 역사적 상황을 바라볼 때 여러 관점을 이해하는 태도를 지니는 게 좋다는 의미를 일반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말”이라고 해명했다.
제작진의 해명에도 논란이 가라앉지 않자, 함께 출연했던 송진우도 수습에 나섰다. 그는 “신중하지 못한 언행으로 많은 분들께 상처와 실망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이의 시선에 맞춰 설명하겠다는 의지가 앞서 ‘싸웠다’라는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김소연 스타투데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