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수 하림이 ‘블랙리스트’ 의혹이 불거진 공연 취소에 대해 다시금 의견을 밝혔다.
하림은 14일 SNS에 “음악가의 자리를 다시 생각하며 서점 계단에 앉아 정리한다. 이것으로 작은 소동이 마무리되길 바란다”며 다시 한번 소신을 드러냈다.
하림은 “계엄의 상처가 아직 완전히 가시지 않은 이 시점에, 며칠 앞으로 다가온 국가기관 주최 행사에서 갑작스럽게 섭외 취소 통보를 받았다”며 “이유는 작년에 광장에서 노래를 했다는 것이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때 실재했다고 알려진 블랙리스트가 지금도 존재하는지는 저는 알 수 없다. 설사 간간이 해온 활동때문에 제 이름이 어딘가에 올라 있다 하더라도, 소극장에서 열리는 작고 가난한 행사까지 영향을 줄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다”며 “이번 일도 결국은 어느 한 중간관리자의 눈치 보기에서 비롯된 일이 아닐까 싶다. 저는 이것을 조직적인 탄압이라고 단정 짓기보다는,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 남아 있는 두려움의 구조로 이해한다”고 짚었다.
하림은 또 과거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으나 그럴 때도 따로 문제를 삼지 않았었다면서도 “그렇게 조용히 넘겨온 일들이 우리 모두의 입을 닫게 만드는 것을 언젠가 깨닫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일도 처음엔 기록으로만 남기려 했다. 하지만 함께 노래했던 동료와 후배들도 저와 같은 입장에 놓일 수 있다는 생각에, 조심스럽게 이 이야기를 정리해 보기로 했다”고 공론화를 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하림은 또 “음악가의 발언은 정치적 행동인가”라고 물으며 “많은 음악이 결국 동시대를 반영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간혹 정말로 음악을 통해 정치적 목소리를 내려는 분들도 있지만, 음악가들의 모든 표현을 정치로만 해석하려는 언론의 시선은 음악이 할 수있는 다양한 좋은 일들을 억누르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저는 꿈꾼다. 음악은 칼도, 방패도 아니기를. 음악은 그저 음악일 뿐”이라며 “음악이 전부인 친구들 누구도 낙엽처럼 정치적 이슈에 쓸려 다니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소동을 기록한다. 부디 이번 일을 계기로, 음악이 더 안전한 곳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이야기했다.
하림은 지난해 12·3 불법계엄 사태 이후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시민문화제’ 무대에 오른 바 있다. 당시 하림은 “한밤 중에 강도가 집에 급습한 것 같았다”며 ‘5.18 민주화 운동’의 피해자였던 외삼촌을 언급하기도 했다.
하림은 지난 13일 SNS에 구체적인 행사명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국가기관이 주최한 행사에서 갑작스러운 섭외 취소 통보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 행사는 오는 28일 통일부가 개최 예정인 ‘남북 청년 토크 콘서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블랙리스트’ 의혹이 제기되자 통일부 관계자는 14일 “실무진이 기획사와 행사안을 검토하는 단계에서 출연자(하림)가 작년 말 대통령 퇴진 집회의 주요 공연자라는 걸 알게 됐다”며 “행사 예정 시기가 대선 기간이라 불필요한 정치적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로 섭외를 중단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소연 스타투데이 기자]